2016년도 생리학 문제
1. 부종 발생기전 및 원인
혈액의 수압(동맥압, 정맥압) 증가시 여과가 촉진되어 부종 유발, 혈장의 모세혈관 교질 삼투압 감소,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, 림프배액의 손상
2. 심장의 흥분전도 과정과 정상 심전도에서 각 파의 의미
굴심방결절>심방합포체>경계섬유>방실결절>방실다발>방실가지>심장전도근육섬유>심실합포체
P파 :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냄
T파 : 심실의 재분극
U파 : 심실 재분극의 마지막 단계
3. 자율신경계가 각 장기에 미치는 영향
효과기 | 교감 신경 | 부교감 신경 |
---|---|---|
눈 | 산동 | 축동 |
분비선 | 땀샘자극 침분비 감소 부신수질호르몬 분비자극 |
눈물샘 자극 침분비 증가 위, 장액 분비 자극 |
심장 | 심박동 증가 심장수축력 증가 |
심박동 감소 심장수축력 감소 |
혈관 | 대부분 혈관수축 | 일부 장기만 확장(음경) |
폐 | 기관지 확장 점액분비 억제 |
기관지 수축 점액분비 자극 |
위장관 | 운동억제 괄약근 수축자극 |
운동자극 괄약근 수축억제 |
입모근 | 수축 | 효과 없음 |
음경 | 사정 | 발기 |
4. 지혈과정
손상된 부위의 국소적 혈관수축 → 손상부위에 혈소판이 부착하여 마개형성 → 혈액응고기전의 활성화로 혈괴 형성
5. 신경계 반사궁의 5가지 요소
수용기, 감각신경. 반사중추, 운동신경, 효과기
6. 소뇌 기능 및 손상 시 나타나는 반응
기능 : 자세 및 근육의 평형과 긴장유지(골격근의 활동조절), 무의식적 운동조절(수의운동 정밀조정)
손상시 : 떨림, 부정확한 발음, 평형기능 장애, 운동실조증, 현기증 등
7. 깊은 잠과 얕은 잠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특징
깊은잠(델타파) : 진폭이 크고 느린 파형
얕은잠(세타파) : REM수면이나 수면초기에 나타남
8. 체온조절 및 체액조절 중추의 위치
시상하부
9. 뇌세포의 주된 에너지원
포도당
10. 귀의 해부학적 구조 중 외이와 중이의 경계
고막
11. 망막에 있는 원뿔세포(추상체)와 막대세포(간상체)의 기능
원뿔세포(추상체) : 색깔인식
막대세포(간상체) : 명암구별
12. 위의 기능
위액 분비, 소화, 흡수, 내용물 배출
13. 소장에서 영양소 흡수과정
포도당, 아미노산, 무기염류, 수용성 영양소 → 융모의 모세혈관 → 간문맥 → 간 → 간정맥 → 하대정맥 → 심장 → 온 몸
지방산, 글리세롤, 지용성 비타민 → 융모의 암죽관 → 림프관 → 흉관(가슴관) → 좌쇄골하정맥 → 상대정맥 → 심장 → 온 몸
14. 간의 기능
3대 영양소 대사(탄수화물, 단백질, 지질), 담즙 생산 & 빌리루빈 대사, 형액응고 & 항응고물질 생산, 방어 & 해독작용, 저장 기능
15.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기능
인슐린 : 혈당농도 감소
글루카곤 : 혈당농도 증가
소마토스타딘 : 인슐린과 글로카곤 분비 억제
16. 호르몬 이상과 그에 따른 질병
성장호르몬 : 거인증, 말단비대증 / 난장이증
항이뇨호르몬(ADH) : - / 요붕증
감상선 호르몬 : 갑상선기능항진증 / 갑상선기능저하증
부신피질 호르몬 : 쿠싱증후군 / 에디슨병
부신수질 호르몬 : 갈색세포종 / -
인슐린 : - / 당뇨병
부갑상선 호르몬 : 골절 / -
17. 호흡조절 인자
PO₂, PCO₂, pH
18. 산-염기 불균형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
호흡성 산증 : 폐환기가 방해되서 CO₂ 축적 pH 감소
호흡성 알칼리증 : 과호흡으로 CO₂ 배출 pH 증가
대사성 산증 : 비휘발성 산의 축적, 염기의 소실
대사성 알칼리증 : 다량의 H⁺ 소실, 알칼리 증가
19. 수용성, 지용성 비타민 분류
수용성 비타민 : B, C
지용성 비타민 : A, D, E, K
20. 운동 후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
호흡 증가, 혈액 농축, 심박동수 증가, 혈압상승, 체온 상승, 소변량 감소, 골격근의 혈량 증가, 산소 부채, 근육 피로
21. 요추천자 부위
L3~L4 부위
21. 혈액의 기능
운반, 조절, 방어
22. 과민반응의 유형
유형 | 중개물질 | 발현 시간 | 병리과정 | 질환 |
---|---|---|---|---|
1형 아나필락시스형 |
IgE | 즉시 | 알레르기원이 IgE 생성자극 | 아나필락틱 쇼크 |
2형 세포 독성 과민반응 |
IgG | 즉시 | 세포 용해 | ABO 부적합 |
3형 아나필락시스형 |
항원-항체 복합체 | 즉시 | 혈과과 조직에 항원-항체 복합체 축적 | 자가면역질환 |
4형 세포 매개성 반응 |
감작된 T세포 | 24~72시간 이내 | lymphokine 방출 | 장기이식 거부반응 |
23. 면역세포의 기능
림프구(T 세포, B 세포, NK세포), 대식세포, 호중구
24.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
관상동맥
25. 호흡가스의 교환 원리
분압차에 의한 확산현상
26. 소변 형성 과정
사구체 여과 → 세뇨관의 재흡수 및 분비
27. 골격근 수축기전
운동뉴런에서 아세틸콜린 분비 → 근육 세포막의 탈분극 → 근형질세망에서 Ca²⁺ → 방출 Ca²⁺이 액틴 필라멘트와 결합 → 미오신이 액틴 필라멘트에 결합하여 끌어당김(활주)
28.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
아세틸콜린(부교감신경), 노르에피네프린(교감신경)
29. 심박동수 조절 인자
Starling의 법칙, 자율신경 작용, 이온 작용(Na⁺, K⁺, Ca²⁺)
30. 혈관의 구성 및 각각의 특징
동맥 : 심장에서 조직 쪽으로 혈액 운반, 탄성혈관
정맥 : 조직에서 심장 쪽으로 혈액 운반, 저장혈관
모세혈관 :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혈관, 물질교환 담당
참고문헌 : 이강이, 김동윤, 김순이, 이순희, 이승아, 정명실 외(2015), 인체생리학 제5판, 현문사
'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6년 2학기 자율실습 (0) | 2016.09.21 |
---|---|
[환자권리장전] 환자를 이렇게 대해도 되는거야?! (0) | 2016.08.30 |
[임상실습] 곽병원 OT (0) | 2016.08.29 |
2016년 임상실습동의서 (0) | 2016.08.18 |
2016년도 해부학 및 실습 문제 (0) | 2016.02.14 |